본문 바로가기

주식 정보 & 종목 story

주식초보 "종합주가지수란??"

안녕하세요 권 코치입니다.

 

종합주가지수는 우리나라 주가 수준과 주가 동향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오늘은 종합주가지수란? 어떻데 만들어지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코스피 지수: 주가 동행을 대표

 

종합주가지수는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주식을 대상으로 산출합니다.

 

유가증권은 코스피로 나타내고, 코스닥시장은 코스닥 지수로 나타냅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은 대부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종합주가지수를 코스피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종합주가지수는 1980년 1월 4일을 기준으로 하여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을 10으로 놓고 이를 기준으로 비교시점의 시가총액이 얼마인지를 산출합니다.

 

 


종합주가지수의 수정은 신규 상장이나 상장폐지 또는 유, 무상증자 등으로 상장 주식의 변화가 있을 때는

 

종합주가지수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종합주가지수를 수정합니다.

 

이때 계산은 비교시점이 아니라 기준시점의 시가총액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취합니다.

 



 

KOSP200 지수: 선물, 옵션 등 파생상품의 기준

코스피 200 지수는 코스피시장의 상장되어 있는 종목 중 시장 대표성, 업종 대표성, 유동성 등을 고려하여

 

200 종목을 선정한 후, 1990년 1월 3일 기준시가총액을 100 하여 시작한 지수입니다.

 

200개 종목의 시가총액이 시장 전체 시가총액의 약 85%를 차지하여 코스피와 거의 동일하게 움직입니다.

 

현재 주가지수 선물이나 주가지수 옵션 등 주가지수를 기초로 하는 파생품은

 

코스피 200 지수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코스닥지수

코스닥지수는 1997년 10월에 코스피와 똑같은 방법으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전 종목의 시가총액을 계산하여 지수 1,000으로 시작하였습니다.

 

코스닥지수는 2000년 초반 벤처기업의 열풍으로 상승을 지속해 한때 2,800포인트를 넘기기도 하였으나

 

그 후 250포인트대까지 다시 하락하고 이후에도 등락을 반복하다

 

최근 코로나 이후 급격이 하락한 지수는 현재 800포인트 대를 보이고 있다.


주요 지수 특징

구분 코스피 코스피200 코스닥 코스닥150 KRX100 KRX300
구성
방법
시가총액
(상장주식수
×주가)
시가총액
(유동주식수
×주가)
시가총액
(상장주식수
×주가)
시가총액
(유동주식수
×주가)
시가총액
(유동주식수
×주가)
시가총액
(유동주식수
×주가)
종복수 상장 전 종목 상위 200종목 상장 전 종목 상위 150종목 상위 100종목 상위 300종목
기준시점 1980년 1월 4일 1980년 1월 3일 1997년 10월 1일 2010년 1월 4일 2001년 1월2일 2001년 1월 4일
기준비수 100 100 1,000 1,000 1,000 1,000
특징 코스피를 대표하는 지수 코스피시장의 파생상품(선물, 옵션, ETF 등)의 기준이 되는 지수 코스닥시장을 대표하는 지수 코스닥시장의 파생상품의 기준이 되는 지수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의 통합대표 지수 코스피와 코스닥시장의 통합대표 지수

 


주식시장 거래의 중지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지나치게 급등락 할 때 투자자들의 심리를 진정시키고 투자자들이 관련 정보를 공유할

 

시간을 주기 위해 매매를 일시적으로 지연 및 정지시키는 사이드카(Sidecar), 서킷브레이크(Circuit Breakers) 제도가 있습니다.


 

 사이드카(Sidecar) :

선물 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상승 및 하락으로 1분 이상 지속될 때 발동하며, 주식시장의 프로그램 매매 호가 효력이 5분간 정지됩니다. 단 주식시장 매매거래 종료 40분 전 이후에는 발동할 수 없으며, 1일 1회에 한해 발동 할 수 있습니다.

 

서킷브레이크(Circuit Breakers):

주가가 갑자기 급등락 하는 경우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하 하기  위하여 주식 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제도로,  2015년 6월 15일부터 주식시장의 가격제한폭이 확대됨에 따라 기존 하루 1회에서 3단계로 변경 8%, 15%, 20% 에 걸쳐 발동됩니다. 

 

정적 변동성 완화 장치(V.I):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크가 지수의 급등락에 의해 발동되는 거래중지 제도라면, V.I. 는 개별 종목에 대한 가격 안전화 장치로 종목의 잠정 체결 가격이 10% 이상 상승 및 하락하는 경우 2분간 단일가 매매를 적용시켜 급변을 완화하는 제도입니다.